네이버의 수익은 주로 광고에서 발생되며, 네이버를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트래픽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네이버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도입함으로써 더 많은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여러 서비스들이 명멸해가는 과정 속에서 네이버의 웹툰 서비스는 2002년 네이버 (유료)만화 서비스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지면으로 보던 만화를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게 하는 정도가 전부였으나, 2004년 ‘네이버 웹툰’으로 개편하면서 지면 만화와는 다른 새로운 장르로서의 특징을 갖추게 되었다. 2008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모바일 웹툰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네이버 웹툰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네이버의 대표적 서비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본 사례는 이러한 네이버 웹툰이 겪은 주요 변화를 살펴보고 조직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업가정신 및 이를 지원하는 조직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성장과 함께 규모의 확대를 경험하는 기업이 성장과 발전을 지속하기 위해 기업가정신을 어떻게 유지하고 함양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
Q1. 네이버 웹툰의 비즈니스 모델은 초창기 네이버 만화 서비스에서 어떻게 발전되었는가?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 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Q2. 네이버가 성장하면서 겪었던 문제점은 무엇이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혁신을 지속하고 사업 기회를 살리기 위해 네이버는 어떤 제도적 변화를 추진하였는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민첩성을 높이고 자원 배분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네이버는 조직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가? 이러한 조직 구조 변화는 네이버 웹툰이 성장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가? 사내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네이버 웹툰에서 혁신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인터넷 환경이 PC 기반에서 모바일 기반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웹툰이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혁신을 위한 프로세스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무엇인가?
네이버 웹툰이 성공할 수 있었던 문화적 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직 구조와 프로세스,문화가 어떻게 정립될 때 사내 기업가정신이 활성화될 수 있는가?
Q3. 네이버 웹툰이 성공하기 위해 김준구 대표와 이해진 의장, 두 리더의 역할은 어떻게 다르고 둘이 협력해야 할 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가?
Q4. 네이버 웹툰은 분사해야 하는가? 한다면 언제가 적기인가? 네이버 웹툰의 운영체제 – 셀(Cell), 조직, 사내 독립기업, 분사 – 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릴 때는 어떤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가?